‘내일은 진짜 열심히 살아야지’
하루를 마치고 침대에 누워서
이런 생각 자주하지는 않나요?
합리화의 악순환을 벗어나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여러분이 하기로 결심한
행위에 대해 판단하지 않으면 돼요.
행위에 대한 판단을 하기 때문에
그 행위의 효율성을 따지게 되면서
합리화의 함정에 빠지는 거거든요.
예를 들어볼게요.
여러분이 매일 10시간씩 공부하기로 결심했는데
오늘 8시간 공부하고 나니까 너무 피곤한 거야.
머리도 잘 안 돌아가.
이때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신이 하기로 결심했던
10시간 공부에 대한 효율을 따지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피곤한 상태에서 2시간 더 공부하는 건 오히려 효율이 떨어지니까, 오늘은 좀 일찍 마무리하고 휴식을 취하는 게 좋겠다.
그럴듯하죠?
그런데 어쨌든 2시간을 공부 안 해서
10시간을 못 채웠잖아요?
그래서 이런 계획을 세우기도 합니다.
오늘 2시간 덜 했으니까 4일 동안 30분씩 더 하면 되겠네. 그건 충분히 할 수 있지.
아주 완벽한 계획 아닌가요?
근데요, 잘 생각해봅시다.
오늘 8시간 동안 공부한 후에
2시간 동안 공부하지 않을 수 있도록
스스로를 합리화하고 있는 학생이,
그 다음 4일 동안 하루도 빠짐 없이
10시간 공부를 꽉꽉 채우고 나서
30분씩 더 공부하는 계획을 완수할 확률이 얼마나 될까요?
그리고 만약에 그렇게 충분히 할 수 있는 학생이라면..
애초에 왜 매일 10시간이 아니라
10시간 30분씩 공부하고 있지 않는 걸까요?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자신이 하기로 한 행위에 대한 판단을 하게 되면
효율성이라는 명목으로 합리화에 빠지기 정말 쉽습니다.
자신이 이런 함정에 자주 빠져서 힘들어 하는 학생이라면 이렇게 해보세요.
여러분이 하기로 결심한 행위에 대한 판단을 하지 말고
대신에 그 행위를 하는 나에 대한 판단을 하면 됩니다.
하기로 해놓고 실제로 해낸 나
VS
하기로 해놓고 안 하고 미루는 나
이 두 가지 중 나라는 사람 중 어떤 사람이 되기를 선택할 것인가
실제로 해낸 후의 나
VS
미루고 난 후의 나
어떤 나를 마주하고 싶은지만 판단하면 돼요.
이 선택 사이에는
효율이라는 함정이 치고 들어올 틈이 없죠.
내가 하기로 했으면 하는 거고
하기로 해놓고 안 했다면
어떤 이유건 스스로와의 약속을 어긴 거예요.
나는 나와의 약속을 어긴 사람이라는 판단만 하면 되는 거예요.
효율이고 자시고 할 거 없어요.
이렇게 ‘나’에 대해 솔직하게 판단을 하면
사고방식 자체가 회피형이 아니라 성장형으로 바뀝니다.
오늘 8시간 공부하고 나니까 너무 피곤해. 머리도 잘 안 돌아가.
근데 하루에 10시간씩 공부하기로 했으니까 해야지.
어떻게 하면 회피하지 않고, 합리화하지 않고
나머지 2시간을 채워낼 수 있을까?
첫 번째, 바람 쐬러 나가서 시원한 공기 마시고, 편의점에서 초콜릿을 사먹는다.
두 번째, 남은 2시간 동안은 새로운 지식을 배우기보다, 복습 위주로 부담이 덜 되는 학습을 한다.
세번째, 2시간 후에 뿌듯해하며, ‘내일도 10시간 채워야지~’하고 기분좋게 마무리한다.
이러한 성장형 사고방식을 가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한다구요?
여러분이 하기로 결심한 행위에 대한 판단을 하지 말고
대신에 그 행위를 하는 나에 대한 판단을 해야 합니다.
이제 칼럼을 마무리 해볼게요.
학습에 있어서 효율이 중요하지 않다는 건 절대 아니에요.
다만, 효율은 지속성이 전제되어 있어야 돼요.
지속적으로 계획을 지켜나갈 수 있도록 만든 후에
비효율성을 줄여 나가는 게 순서라는 거죠.
합리화에 자주 빠지는 학생들을 보면
의욕에 차서 순간적으로 결심을 하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자기 전이나 어떤 동기부여 영상을 봤을 때요.
자기 전에 동기부여 영상을 본다면 더 의욕이 넘치겠죠.
이럴 때는 의욕이 넘치다보니
실제 자신이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높은 목표를 세워버리고
결국 그 목표를 이루지 못하게 되는 경험
그것도 합리화를 통해 미루는 경험을 많이 하면서
악순환에 계속 갇혀있게 되는 겁니다.
반면에, 자신이 무엇을 할지 결정할 때
신중하게 객관적으로 검토한 후
계획한 것을 실제로 해내는 경험을 많이 쌓은 학생은
수-존감이 올라갑니다.
수-존감은 제가 만든 단어인데요,
수험생으로서의 자존감의 줄임말입니다.
이런 수-존감을 높이면 공부의 효율이 높아지고,
성장에 가속도가 붙을 수 밖에 없어요.
제가 수많은 학생들을 만나 상담을 하며
어떤 학생들이 빠르게 성장하는가
그들은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를 분석을 해봤는데
결국 수-존감이라는 단어로 귀결되더라구요.
앞으로 여러분도 모르는 사이에
여러분의 수존감을 깎아 내리고 있는 여러 요소들과
반대로 수존감을 높여서 지금보다 더 성장할 수 있는 방법들을
경쟁자를 이겨낼 수 있는 그 방법들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다음에 또 만나요.
오늘 하루도 응원합니다.
오늘 하루도 고생 많으셨어요 :)